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네옴시티 우리에게 정말 어떤 득이될까?

by wikigo 2022. 11. 16.
반응형

네옴시티 우리에게 정말 어떤 득이될까?

사우디가 요즘 밀고 있는 초대형 프로젝트예요. 사막 한가운데에 서울 면적의 44배에 달하는 첨단 미래 신도시를 만드는 건데요. 총 사업비만 5천억 달러(약 658조 원)가 들어가요. 네옴시티는  크게 세 가지 프로젝트로 구성됩니다.

더 라인: 네옴시티의 핵심이자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에요. 롯데타워 정도 높이(500m)의 건물을 일렬로 170km까지 쭉 이어붙이는 형태인데, 외벽은 반사되는 유리로 만들어 태양광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에요. 고속 열차가 있어 도시 끝에서 끝으로 이동하는 데 20분밖에 안 걸리고요. 최대 600만 명이 이곳에서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옥사곤: 바다 위에 떠 있는 팔각형 모양의 수상도시로,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 각종 첨단 산업의 기업과 연구소가 모일 예정이에요. 옥사곤이 전 세계 무역의 13%가 통과하는 홍해에 있는 만큼, 물류 허브로도 키울 생각입니다. 

트로제나: 사람들이 1년 내내 각종 스포츠 활동을 하고 산악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곳이에요. 2029년에는 이곳에서 동계 아시안 게임이 열릴 예정입니다.  

우리가 사우디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게 석유잖아요. 그만큼 사우디 경제의 대부분이 석유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사우디는 네옴시티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체질을 완전히 바꾸려는 거예요. 앞으로는 첨단 산업 중심으로 노선을 확 갈아타려는 것. 엄청난 돈을 쏟아붓는 프로젝트에 우리나라 기업들도 관심이 많은데요. 벌써 삼성과 SK, 현대자동차, 한화 등 대기업 총수들이 빈 살만 왕세자가 들어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어요. 빈 살만 왕세자와 우리나라 기업 총수들이 만나면, 자연스레 네옴시티 사업과 관련한 이야기가 나올 거라고 보고 있고요. 이 자리에서 대규모 계약을 따내면, ‘제2의 중동 붐’을 누릴 수도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죠. 이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손을 잡고, 더 라인 지하에 철도가 지나다닐 수 있는 터널을 뚫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네옴시티 썸네일 이미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