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누진세 계산방법과 전기세 절약 방법!
전기요금 누진세 계산방법과 전기세 절약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전기세 누진세 계산방법과 전기세 절약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득 금액이 커질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하도록 정한 세금으로 소득 간 불평등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소득자에게는 높은 세금을 저소득자에게는 낮은 세금을 거두자는 의도에서 실시된 것으로 비용을 줄이기 위한 대체방안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용구간에 따른 기본요금과 전력량 요금이달라집니다. 이 외 일반. 산업. 교육. 농사 등으로 구분 지어집니다
먼저 가정용 전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우선은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아파트 경우 관리비 고지서 일반 주택의 경우 전기세 고지서에 보시면 고객 사항 하단에 적혀 있습니다 가정용 경우에는 저압과 고압으로 나뉘고 따라서 산정 방식 또한 달라집니다 주택용 저압은 주거용 고객 계약전력 3kw 이하의 고객 또는 독신자 합숙소 집단 주거용 사회복지 시설로서 주택용의 적용을 원하는 경우나 주거용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이 외에 가정용의 경우 주택용 고압에 해당됩니다 중요한 부분은 전력의 사용량이지만 이제는 누진세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한 달 사용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체크해 보세요 주택용을 제외하고 일반 산업용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기본료가 상대적으로 높고 사용량이 아주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전기료 계산방법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계시는데요.
오늘은 전기료 계산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전기료 계산방법
우리나라 주택 전기료 계산법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 주택용 전기요금 구성
먼저 주택용 전기요금 구성부터 확인해보면, 전기요금계는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액으로 7성되어 있으며, 이 전기요금계에 부가가치세와 전력사업기반기금이 붙어 우리가 납부하는 총 전기요금이 됩니다.
◎ 주택용 전기료 계산법
전기료 계산 = 전기요금계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계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기후환경요금 ± 연료비조정액
- 전력량요금의 경우 한전의 전기요금표를 보고 계산하면 되는데요.
ex) 22년 4월에 300kWh를 사용했을 경우, 93.2x200 + 187.8x100 = 37,420원
ex) 22년 7월에 350kWh를 사용했을 경우, 93.2x300 + 187.8x50 = 37,350원
◎ 부가가치세 : 전기요금계 x 0.1
◎ 전력산업기반기금 : 전기요금계 x 0.037
◎ 전기요금계 + 부가가치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 청구 전기요금
◎ 주택용 전기료 계산기
네이버나 한전에서 제공하는 전기료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 쉽고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만약 300kWh의 전력을 사용했다는 가정 하에 전기료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주택용 고압, 대가족 요금은 해당없음 사용량에 304kWh를 입력하면 예상 전기요금은 47,130원이라고 나옵니다.
◎ 2023년 1월 1일 시행 전기요금표(종합)
전기료 계산 : 2023년 전기요금 인상 'kWh당 13.1원'
가스 요금에 이어 이번 달에는 4인 가구 기준 전기요금이 1만 원 넘게 오를 것이라고 합니다!
2월 관리비 고지서에서 '4인 가구(겨울철 월평균 사용량 304kWh) 기준 지난달 사용분 전기요금은 지난해 2월보다 1만 1200원 오를 것으로 계산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4만 5350원에서 5만 6550원으로 25.7% 늘어난 것이라고 해요.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kWh당 전기요금을 2023년 1월 1일부터 13.1원 올린다'고 발표했습니다. 'kWh당 13.1원'은 한전 역대 최고치 인상 폭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최근 전국적인 한파로 전력수요가 치솟은 점을 고려하면 전기료 부담을 호소하는 가구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전기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요금이 더 비싸게 적용되는 '누진세'가 적용된 경우 실제 전기요금은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행 누진제도를 보면 전력 사용량이 200kWh 이하이면 전력량 요금은 kWh당 112.0원이지만, 201~400kWh 사용 구간에서는 kWh당 206.6원으로 오릅니다. 400kWh을 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력량 요금이 kWh당 299.3원으로 뛰게됩니다. 200kWh 이하 사용자보다 두 배 넘게 전력량 요금이 오르는 셈입니다.
◎ 주택용 전력(저압)
주거용 고객(아파트 고객 포함), 계약전력 3kW 이하의 고객
독신자 합숙소(기숙사 포함) 또는 집단주거용 사회복지시설로서 고객이 주택용 전력의 적용을 희망하는 경우 적용
주거용 오피스텔 고객(주거용 오피스텔이란? 주택은 아니지만 실제 주거용도로 이용되는 오피스텔)
주택용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엑셀파일
1주택수가구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엑셀파일
복지할인 적용대상 중 월 200kWh 이하 사용 가구는 추가감액제도 (구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대상이나 복지할인 종류에 따라 요금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기요금 계산기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택용 전력(고압)
고압으로 공급받는 가정용 고객에게 적용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주택용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엑셀파일
복지할인 적용대상 중 월 200kWh 이하 사용 가구는 추가감액제도 (구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대상이나 복지할인 종류에 따라 요금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기요금 계산기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전기요금 절약방법
실내 적정 온도인 25~26도로 유지하고 에어컨의 경우 사용 전 필터를 깨끗하게 청소해서 냉방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실외기 팬 주변 먼지 제거도 보다 더욱 도움을 줍니다
실내 온도를 빠르게 내리기 위해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틀거나 에어컨 날개 방향을 위쪽으로 올려주어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뜨거운 공기는 위로 향하게끔 해주면 공기 순환이 더욱 잘 되면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코드까지 뽑아둔다면 한 달에 4~6w 대략 30% 정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고 계시면 전기세 누진세 절약 습관 들이시는 것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전기 요금 측정기를 이용해 전기세를 관리할 수 있으며 전기 요금 측정기는 전기 요금을 눈으로 직접 보고 소비 전력과 요금은 물론 작은 대기전력까지 한 번에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PdCrG
2세대 가정용 전기요금 측정기 소비전력 콘센트 측정기 사용량 전력량
COUPANG
www.coupang.com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습관을 키울 수 있습니다 스마트 전기 타이머로 전기 요금 폭탄 예방 스마트 전기 타이머는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콘센트 플러그 뽑기를 깜빡해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전기 누진세로 인한 전기세 폭탄 가능성을 조기에 예방 가능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PdAHk
티피링크 미니 스마트 Wi-Fi 플러그
COUPANG
www.coupang.com
이번시간에는 전기요금 누진세 계산방법과 전기세 절약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